오늘 수업에서는… 저자에 대해 알아보기 스마일에 대해 물어보기 우리의 고민을 파헤쳐보기
지난 9월 20일 전문가 미팅이 예정된 라이프 아카데미 일정에 따라, 감정영수증 발행 로봇 ‘스마일’을 만든 최재필 작가를 만났다.
작가를 만나 그가 감성과 관련된 전시를 열게 된 계기와 전시를 통해 전하고 싶은 메시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또한, 작가의 대표작 중 하나인 ‘스마일’과 이번 라이프 아카데미 전시를 준비하면서 가졌던 고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작가를 알아가세요
인터뷰는 작가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됐다.
최재필 작가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일했는데, 인터랙티브한 작품, 즉 관객과 소통하는 작품을 만들고 싶다는 열망에 그 경험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약 7~8년 동안 예술가로 활동해온 그는 대중이 이해하기 어려운 미술을 피하고, 자신의 작품을 통해 사람들이 따뜻한 마음을 느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현실적으로 대중이 이해하기 어려운 작품이 많은데, 저는 그런 작가가 될 수 없을 것 같아요. 사람들이 내 작품이 ‘따뜻하다’고 말해주는 걸 정말 좋아한다.
그래서 따뜻함을 전하고 싶어요.
그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질문들을 기록하고, 2~3년 뒤에는 그 기록을 바탕으로 작품을 창작한다고 한다.
또한 부정적인 감정을 피하고 가볍고 긍정적인 감정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욕구가 강조되었다.
작가의 작품은 감정을 통해 더 큰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로 활용된다고 덧붙였다.
미소에 대해 물어보세요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행복영수증을 발행하는 로봇 ‘스마일’과 함께 인터뷰가 이어졌다.
‘Smile’은 원래 작가가 개인적인 용도로 만든 것입니다.
그는 자신이 웃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외모를 개선하기 위해 자신을 모니터링하는 로봇을 만들었습니다.
로봇은 아티스트의 표정을 모니터링하며 ‘스마일!
’을 외치는 기능을 갖고 있었다.
작가가 웃지 않고, 하루를 마감할 때 영수증처럼 그날의 감정량을 인쇄하지 않았다면 말이다.
일을 하다가 웹캠으로 내 얼굴을 봤는데, 내가 알던 얼굴이 아니더라. 잘 웃는 사람인 줄 알았는데, 혼자 있을 때는 그런 걸 별로 안 좋아하더라고요. 그래서 나를 감시하는 로봇을 만들었습니다.
그러다가 스마일이 전시에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로봇은 관객의 감정을 기록하고 그 감정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는 도구로 변신하게 됐다.
처음에는 부정적인 감정에 부정적인 대가를 매겼지만, 점차 모든 감정이 소중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이제는 모든 감정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부정적인 감정’이라는 부정적인 대가를 없앴다.
작가는 ‘감정 메신저’라는 작품도 만들었습니다.
소개하자면, 이 프로젝트는 인공지능(AI)을 통해 개인별 감정 분석을 시도했으나 결국 실패했다고 밝혔다.
AI가 인간의 감정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사실 저는 AI가 실패하길 바랐어요. “내 감정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AI가 만들어지면 나쁜 AI가 되지 않을까 걱정했어요.”
우리의 고민을 파헤쳐 보세요
우리 (감성훈련) 그룹은 전시를 관람하는 관람객들이 자신도 몰랐던 자신의 감정을 되돌아보고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전시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생각과 마찬가지로, 우리도 얼굴 표정을 통해 감정을 생각할 수 있도록 전시를 기획한 작가로부터 프로젝트에 대한 조언을 받았습니다.
행복한 표정을 강요하는 ‘스마일’에 비해, 저희 프로젝트는 자연스러운 표정과 감정을 이끌어내는 것이 목적입니다.
자연스러운 감정과 ‘진짜’ 표정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감정분석을 하게 된다는 사실을 숨긴 채 특정 감정을 이끌어내는 과정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감정은 사람이 처한 맥락이 중요하기 때문에 AI가 분석한 답이 정답이라고 말하는 것은 위험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시를 관람하는 사람들은 어느 정도 긍정적인 기대를 갖고 올 것이고, 표정에서 감정이 드러나는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AI가 이런 특수한 상황을 완벽하게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의료 전문가가 아닌 이상 사람들의 표정을 보고 관객의 상태를 ‘진단’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미소’ 전시에서는 감정 영수증을 받은 사람에게 ‘슬프다’가 아니라 ‘미소가 나를 슬프게 쳐다봤다’라고 인식하게 만들었다.
이렇듯 전시의 결과를 조금이라도 가볍게 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전시 형식이라면 해석의 책임을 전적으로 관객에게 전가하는 것은 좋지 않을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우리가 표정을 분석하려는 이유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정해져 있으며, 그 목적에 맞는 특별한 감정이나 표정을 ‘유발’하는 것이 전시를 성공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누군가가 나를 찾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은 큰 행복입니다.
언제든지 도움이 필요하시면 저에게 연락주세요!
마지막으로 저자는 위와 같은 말로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이렇게 거대한 주제와 목적의식을 가지고 이번 인터뷰를 통해 그동안 고민했던 많은 부분과 막혔던 부분들을 구체화시켜 프로젝트의 방향을 정할 수 있었습니다.
그는 계속해서 자신이 전문가는 아니라고 주장했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전시라는 전혀 새로운 분야를 어떻게 성공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는데, 그 분야의 전문가인 작가님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서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갑작스러운 요청에도 흔쾌히 받아주신 작가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