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바우처제도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식량소비 불안정으로 인한 빈곤층의 건강문제를 줄이고 국산 농축산물 소비를 촉진하여 농가경제 활성화를 위해 도입한 제도이다.
2020년 4개 지자체를 시작으로 2023년 18개 지자체로 확대해 시범 운영한다.
발급되는 농산물이용권은 매월 일정금액을 충전하여 지정된 가맹점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목표
시범지역 내 지방자치단체에 거주하며 소득기준 중위소득 50% 미만 가구
□ 평균 중위소득
분할 | 독신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금액(원/월) | 2,077,892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330,688 |
□ 지자체 시범지역
18개 지자체 읍·면·동 215곳에서 시범 운영 중이다.
법원 청문회 | 시티 서클 | 관할 읍·면·동 번호 | |
부산 | 부산진구 | 2 | |
인천광역시 | 옹진군 | 7 | |
메트로폴리스 대구 | 달성군 | 9 | |
강원 | 평창포, 화천포 | 13 | |
충북 | 충주시 괴산군 | 36 | |
충남 | 당진시 청양군 | 24 | |
전북 | 김제시 고창군 | 33 | |
전남 | 해남포, 장성포, 강진포 | 36 | |
경북 | 예천권총, 청도권총 | 21 | |
경남 | 밀양시, 거제시 | 34 |
■ 약정금액 및 납부방법
□ 지원금액
가구 구성원 수 | 1명 | 2명 | 3명 | 4명 | 5명 |
지원 수준 | 40,000원 | 57,000원 | 69,000원 | 80,000원 | 89,000원 |
가구 구성원 수 | 6명 | 7명 | 8명 | 9명 | 10명 이상 |
지원 수준 | 98,000원 | 106,000원 | 113,000원 | 120,000원 | 126,000원 |
※ 1인가구 최저생계비와 식비일시금을 포함한 가용 식비의 차액을 산정한 금액입니다.
□ 결제방법
매월 1일 농식품이용권으로 적립금을 충전하여 월말까지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잔액은 이체되지 않으나, 월 2,000원 미만일 경우에만 이체가 가능합니다.
■ 사용법
□ 농협하나로마트 방문
가까운 식자재 상품권 가맹점(농협하나로마트, 동네 식자재 직판장)을 방문하여 농작물 상품권 카드로 결제 및 얻다작동합니다.
□ 농협몰 온라인 구매
농협몰(www.농협몰.com) 영농급식권 코너에서 구호물품을 구매하세요.
□ 번들 요청
거동이 불편한 분들을 위해 별도의 택배가구 신청을 받고 매월 지원금액만큼의 상품으로 꾸러미를 제작하여 배송하고 있습니다.
■ 신청기간 및 방법
□ 접수기간 : 2023년 2월 20일 ~ 2023년 11월 30일
□ 접수처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신청 : 농식품이용권 신청 및 수령
■ 구매 가능한 식료품
원래 구입이 가능했던 지역 채소, 과일, 흰 우유, 신선한 계란, 육류(고기 및 장신구), 잡곡, 꿀 외에도 지역 두부 및 단순 가공 채소(껍질을 벗긴 채소, 삶은 채소, 건조 채소)를 2022년 8월부터 구매 가능합니다.
산양유를 구매 가능한 식품으로 추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