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4대 악재

3월 주식시장 랠리를 오래전부터 기대했는데 나쁜점이 4가지 있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 한미 금리차 ② 미 국채금리 다시 상승

금리가 높은 곳에 투자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예전에는 한국 주식이 싸다고 생각하지 않았나요?

③ 얼어붙은 미국 심리학

한국은 수출로 잘사는 나라지만 최대 구매국인 미국의 바이어들은 경제에 대해 부정적이다.

경기 침체는 불가피하다고 생각하는데 실업률이 여전히 견조하다면 상반기 이후에 더 눈에 띄지 않을까요?

④국내기업의 실적부담

최근 실적을 발표한 삼성전자를 비롯해 1년 전보다 실적이 급락한 기업이 적지 않다는 기사를 종종 본다.

경기가 회복되고 실적이 좋아진다는 기사가 나온다면 이미 주가에 반영되지 않을까요?

저의 지나친 낙관적 소견일 수 있지만 미국이 3월에 FOMC 금리를 0.25%로 인상한다면 2400년대 KOSPI 지수에 더 이상 나쁜 소식은 없을 것 같습니다.

강방천 회장과 존 리 대표가 공동 집필한 ‘나의 첫 주식 레어북’ 내용 중 주식은 정답이 없다.

펀드매니저를 전문가라고 부르지만 어떤 매니저는 같은 주식을 팔고 다른 매니저는 그것을 산다.

심판마다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현명한 투자자는 기다리는 방법을 알고, 경험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고, 기업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사람입니다.

악재가 우려되는 점을 감안하면 3월은 예정대로 포함돼야 한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2020년 3월 코로나 사태로 놓친 기회를 통해 미디어의 반대가 대중과 다르게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을 배운 경험이다.

정해진 원칙만 지킨다!

오늘의 종목은 최근 52주 최저가를 기록한 SK텔레콤이다.


네이버증권

https://www.mk.co.kr/news/economy/10667150

“선장도 높은 평가”…코스피 ‘4대 악재’에 몸살 – 매일경제

증시 불안 부추기는 주요 지표 분석

www.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