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모니터, 프로젝트 등의 디스플레이 장비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합니다.
TV 방송을 보기 위해서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타이틀을 보기 위해서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콘솔 게임기, 또는 PC나 노트북 등을 접속해야 디스플레이로 콘텐츠를 즐길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많은 종류의 장치가 있습니다만, 현재 그들을 연결할 때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HDMI 케이블입니다.
케이블 하나로 영상 뿐만이 아니라 음성을 함께 전송할 수 있어 간단하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는 HDMI입니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HDMI를 사용하지 않는 편이 유리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사진편집 모니터, 디자인용 모니터 등 정확한 색상을 필요로 하는 작업의 경우입니다.
아마 지금은 모르시는 분들도 많을 거예요. 옛날 비디오 플레이어와 TV를 연결하는 모습을요.비디오 플레이와 TV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RCA 또는 콤포지트라는 AV 케이블을 이용했습니다.
적색과 백색, 황색 단자의 3개로 구성된 이 케이블은 음성신호(적색, 백색)와 영상신호(황색)를 전송하는 역할을 했는데 3개의 케이블선 중 1개만 접촉불량, 단선 등의 문제가 생기면 모두 바꿔야 했습니다.
물론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화질과 음질을 기대할 수는 없었지만 당시는 TV와 비디오를 연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었죠. 그러나 시간이 흘러 아날로그의 시대는 끝났고 디지털의 시대가 왔습니다.
디스플레이 장치나 플레이어도 디지털 신호가 주류가 되고, 거기에 따라 다른 형태의 케이블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만, 이 때에 탄생한 것이 고선명도의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라고 하는 명칭의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즉 HDMI입니다.
2002년 처음 선보인 HD MI 형식은 당시로서는 상당히 높은 FHD 해상도를 지원하며 무엇보다 영상과 음성신호를 케이블 하나로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방식의 케이블로 발표되면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2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영상기기를 연결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규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HDMI 케이블이라 셋톱박스, 콘솔게임, 블루레이 플레이어, 심지어 스마트폰에도 연결될 정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데 사진 편집 모니터 그래픽용 모니터만으로는 추천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그것은, HDMI가 가지는 특유의 「제한적인 컬러 표현의 한계」때문입니다.
영상 기기를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HDMI 케이블입니다만, 컬러의 제한이 있는 것은 다소 이상한 느낌도 듭니다만, 컬러를 올바르게 표현할 수 없는 이유 역시 영상 기기 때문에 태어난 형식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